주제 하나를 선택하여 시작합니다.
일반적인 시스템 요구 사항
는 고사양 컴퓨터는 물론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잘 구동됩니다. 시스템 리소스를 적게 소모하면서도 기능성에 최적화했기 때문이죠.
최소 요구 사양
- 펜티엄 듀얼 코어 1.6GHz (2007년 즈음에 출시된 모델)
- 2GB RAM
- 16GB의 디스크 여유 공간
권장 사양
- 펜티엄 및 i3 시리즈 (2013년 즈음에 출시된 모델)
- 4GB RAM
- 80GB의 디스크 여유 공간
컴퓨터의 사양이 권장 사양에 충족하거나 더 높으면 운영 체제가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됩니다.
설치 준비하기
is relatively simple to set up, whether you're looking to replace your existing operating system or install alongside an existing one - such as Microsoft Windows or another GNU/Linux distribution.
For the best results:
- 중요한 데이터는 꼭 다른 저장소 기기로 백업해 두세요.
- 설치 과정 중 사용 가능한 업데이트를 설치하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하세요.
- 사용 가능한 모든 업데이트를 설치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을 유지해 주세요.
- 배터리 전원으로 구동 중인 경우 AC 전원을 연결해 주시기 바랍니다.

The live session you are currently in right now is a good opportunity to test without modifying your computer, allowing you to test all of your peripherals are working as intended before committing to installing it on your machine. Once you are ready, double click the installation icon from the desktop.
UEFI 기반 컴퓨터
컴퓨터가 통일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UEFI) 상에서 구동되면서 이미 다른 운영 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먼저 보안 부팅 (Secure Boot) (혹은 부트로더 잠금 해제 (Unlock Bootloader))을 비활성화해야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가 구식 BIOS에서 구동된다면 이렇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특히 듀얼 부팅을 시도하는 경우, 시스템은 알맞는 모드와 64비트 이미지로 부팅되어야 합니다. UEFI 모드로 운영 체제를 설치한 이후 BIOS 모드로 운영 체제를 설치하면 그 운영 체제로 부팅되지 않습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UEFI 시스템에서 GPT 형식으로 포맷된 디스크로 BIOS 모드로 부팅하면 "보호 레이어"라고 보여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사용자의 데이터는 전혀 손실되지 않습니다.
스왑
적은 양의 메모리(RAM)을 가진 컴퓨터에서, 운영 체제는 디스크에 스와핑을 시작할 것입니다. Windows에서의 "페이징 파일"과 비슷한 역할을 하죠. 적은 양의 메모리로 구동하게 되면 컴퓨터의 성능이 떨어질 것이고, 메모리 부족이 발생하면 컴퓨터 자체가 멈추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스왑 파티션은 설치된 RAM의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2GiB의 RAM이 설치되어 있다면 드라이브의 마지막 부분에 2GiB 만큼의 스왑 파티션을 만들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스왑 파일은 시스템에 설치된 RAM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2 GiB만큼의 RAM이 설치되어 있다면, 2 GiB의 스왑 파일이 하드 디스크 공간에 생성됩니다. 이제는 별도의 스왑 파티션을 만들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듀얼 부팅
를 기존에 설치한 운영 체제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기 위해, 파티션을 축소해야 합니다.
데이터 손실과 I/O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 사항을 확인해주세요.
- 저장소에 충분한 여유 공간 확보. 최소 10GB의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 중요한 정보의 백업.
- 하드 디스크 조각 모음.
- Windows의 완전 종료 여부 (최대 절전 모드가 아님).
선호하는 방식은 어떤 건가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설치기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설치기는 기존의 운영 체제를 찾기 위해 디스크를 스캔할 것이고, 그에 따라 가능한 설치 형태를 알려드립니다.
다음과 비슷한 옵션을 보게 됩니다. :
![]()
Followed by:
![]()
리사이징 작업 중에는 작업을 중단하거나 컴퓨터를 종료하지 마세요.
그렇게 한다면,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파티션 테이블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진행하기 전에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설치기가 오랜 시간동안 작업 중 커서를 보일 수 있습니다.
다음에 Windows로 부팅하게 되면, NTFS 파일 시스템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명령 프롬프트(cmd.exe)에서 chkdsk /f
를 실행해주세요. Windows는 오류 확인 작업을 자동적으로 예약할 것입니다.
GParted를 이용하거나 설치기의 "사용자 지정" 옵션을 사용하세요.
GParted is available during the live session only. It is located under the System Administration menu. GParted provides complete flexibility over your partitions, primarily for power users who know how they'd like to layout their disks. This method makes changes to partitions prior to installation.
디스크에 모든 작업을 마친 후, 남은 공간은 별도로 할당하지 않아도 됩니다. 설치기는 디스크의 할당되지 않은 남은 공간에 를 설치하려고 할 것입니다.
설치기의 "사용자 지정" 옵션을 사용합니다.
GParted를 사용한 후, 혹은 GParted 대신에 설치 마법사 설정 진행 중 사용자 지정 옵션을 사용해도 됩니다. 이 옵션에서도 마찬가지로 파티션의 크기를 다시 조절할 수 있고, 마운트 포인트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디스크의 구역을 나누는 것은 나중에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하는 것보다 더 쉽고 간편한 방법입니다.
마운트 포인트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
/
- 의 기반/boot
- 부트로더 및 커널/home
- 개인 파일 및 폴더/tmp
- 임시 파일/usr
-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 포함 (바이너리, 문서, 라이브러리, 기타 등등)/var
- 변동이 자주 일어나는 데이터 (시스템 로그 등)/srv
- 시스템 서비스의 데이터 (서버 환경 구축 시 주로 사용됨)/opt
- 패키지 매니저로 관리되지 않는 추가 소프트웨어 (such asSpotify)
Creating separate partitions for all above mount points is not necessary. The commonly partitioned directories being /
, /home
and /boot
. These mount points can also be set across different physical disks, for instance, if you'd like the OS /
on an SSD, but your personal files /home
on a mechanical hard drive.
Windows 시스템 디스크의 크기를 축소합니다.
Windows Vista 혹은 이후 버전에 적용됩니다.
Windows XP 및 이전 Windows를 사용하고 있다면, 파티션을 축소하기 위해선 간단 혹은 고급 모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최근 버전의 Windows에서는 Windows 내에서 바로 NTFS 볼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를 즐기면서도 Windows를 사용해야 한다면 이 도구를 사용하는 편이 더 안전한 방법입니다.
1. 시작 메뉴에서 디스크 관리를 실행합니다.![]()
2. 축소하고자 하는 파티션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메뉴에서 볼륨 축소를 선택합니다.![]()
3. 축소될 파티션 크기를 입력합니다.![]()
기억하세요. 는 최소 16GB의 디스크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1 GB = 1000 MB
이 글을 읽고 나서...
Windows를 포함한 디스크에서 파티션을 수정하는 좋은 방법들은 도움말 글 (온라인)에서 읽어볼 수 있습니다.
부팅 문제 고치기
많은 리눅스 배포판들은 운영 체제를 부팅시키기 위해 grub
라고 하는 부트로더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몇몇 운영 체제(Windows 등)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부트로더를 무시하고 자신만의 부트로더를 덮어쓸 수도 있습니다. 이는 임시적으로 로 부팅할 수 없게 만듭니다.
다행히도, Boot Repair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다른 운영 체제로 인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부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 추가 패키지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터
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및 보안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이제 막 를 설치하셨다면, 지금 바로 업데이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앱은 나중에 애플리케이션 메뉴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제한된 추가 패키지
우분투 (Ubuntu) (의 기반 배포판)는 사용자들이 거의 모든 주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그러나 일부 특허를 받았거나 저작권 제한이 있는 소프트웨어("우분투 라이선스 정책" 참고)와 같이 비자유(non-free) 소프트웨어는 무작정 배포하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설명을 참고하시면 DVD, MP3, QuickTime, Windows 미디어 등과 같은 포맷을 재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Ubuntu’s commitment to only include completely free software by default means that proprietary media formats are not configured “out of the box”. See Ubuntu’s Free Software Philosophy and the Free Formats page for a more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se issues.
Legal Notice Patent and copyright laws operate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country you are in. Please obtain legal advice if you are unsure whether a particular patent or restriction applies to a media format you wish to use in your country.
드라이버
는 넓은 범위의 하드웨어와 호환되지만, 일부 하드웨어는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하기 위해 정해진 사유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펌웨어 패키지를 설치하면 블루투스나 Wi-Fi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기도 합니다.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추가 드라이버는 나중에 소프트웨어 & 업데이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래픽
사유 드라이버? 오픈 소스 드라이버?
사유 드라이버는 하드웨어 제조사로부터 직접 제공됩니다. 오픈 소스가 아니기에, 우분투 개발자들은 드라이버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없고 드라이버 코드를 개선할 수 없습니다. 이 드라이버를 설치한 이후 지원을 받고자 한다면 하드웨어 제조사에게 지원을 요청하세요.
추가적으로, 사유 드라이버는 시스템 전역으로 그래픽 성능을 눈에 띄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면 사유 드라이버를 사용하세요.
- 3D 프로그램 및 게임 실행.
- 전원 관리 향상. 오픈 소스 드라이버는 과열을 야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고해상도 및 다중 모니터 환경 개선.
- 검은 화면 문제 해결.
사유 드라이버는 "Binary blobs"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하드웨어 상에서 이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오픈 소스 드라이버에 비해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하거나, 예상과는 다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다음은 그러한 문제의 예입니다. :
- 그래픽 데스크톱으로의 부팅 실패.
- 업그레이드 이후 드라이버 손상.
- 심각한 그래픽 깨짐 현상.
- 하드웨어 가속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게임에서의 문제 발생.
Wi-Fi, 블루투스 및 기타 기기
추가 드라이버가 발견되지도 않고 펌웨어 패키지를 설치한 후에도 작동하지 않는다면, 그 장치에 알맞는 드라이버를 찾기 위해 인터넷에 검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불행히도, 이는 제조업체가 해당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소스를 개발자들에게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아예 제공을 하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고, 개발자들이 해당 하드웨어를 위한 드라이버를 만들기에는 하드웨어가 충분히 문서화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일부 제조 회사들은 자사 장치를 위해 비 오픈 소스 드라이버를 직접 제공하기도 합니다. 도움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커뮤니티에 질문을 올리세요.
입력 방법
에선, 키보드 입력을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IBus(Intelligent Input Bus, 지능형 입력 버스)이고, 나머지 하나는 Fcitx(Free Chinese Input Toy for X, X를 위한 무료 중국어 입력기)가 있습니다.
복잡한 입력 방식
일부 지역에서 사용하려면 복잡한 입력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백업, 방화벽 및 사용자 관리
는 백업 유틸리티와 방화벽, 다중 사용자 지원을 설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방화벽
방화벽은 컴퓨터로 들어오고 나가는 의심스러운 연결을 방지합니다. 기본적으로, 방화벽은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방화벽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Gufw는
ufw
(Uncomplicated Firewall, 단순한 방화벽)의 GUI 프론트엔드입니다. 만약 사용자가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이 외에도 컴퓨터의 보안을 유지시켜줄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provides a unique tool to transform the user interface. It can be used to quickly setup the user interface to broadly reflect how other popular operating systems look and feel.
Raven Configuration Center can be found later in budgie panel options .
설정
The utilities mentioned above are all part of the extensive Settings control center that provides. You can configure just about every aspect of your computer from Settings.
키보드 단축키
has many keyboard shortcuts that help make using your computer more efficient.
The Super key is your Windows key. For Mac keyboards, this is the ⌘ Command key.
Budgie 데스크톱 단축키
Budgie 데스크톱에서 사용되는 유용한 단축키
|
Raven에서 알림 열기 |
|
Raven에서 애플릿 설정 열기 |
애플리케이션 공통 단축키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단축키입니다.
F12 | Tilix Quake 모드 토글 |
Ctrl C | 선택된 텍스트/오브젝트 복사 |
Ctrl X | 선택된 텍스트/오브젝트 잘라내기 |
Ctrl V | 선택한 텍스트/오브젝트 붙여넣기/삽입하기 |
Ctrl A | 모든 텍스트 선택 |
Ctrl F | 단어 찾기 |
Ctrl F | 단어 찾아 바꾸기 |
Ctrl B | 선택한 텍스트 굵게 |
Ctrl I | 선택한 텍스트 이탤릭체로 |
Ctrl U | 선택한 텍스트 밑줄 표시 |
Ctrl N | 새로운 문서나 창 열기 |
Ctrl S | 현재 문서 저장 |
Ctrl O | 다른 문서 열기 |
Ctrl P | 현재 문서 인쇄 |
Ctrl Z | 마지막 변경 사항 취소 |
Ctrl Shift Z | 변경 사항 취소 되돌리기 |
F11 | 현재 애플리케이션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복구 |
데스크톱 단축키
This section lists common keyboard shortcuts which you can use to operate parts of the desktop.
|
애플리케이션 메뉴 열기 |
Alt F2 | Run an application by typing its name in the box which appears |
Ctrl Alt 삭제 | 로그아웃 |
|
화면 잠금 |
Ctrl Alt T | 터미널 열기 |
Alt
|
스크린 리더 활성화/비활성화 |
창 단축키
Alt Tab |
현재 열린 창 간 전환
|
Ctrl Alt 왼쪽 키 | 이전 워크스페이스로 전환합니다. |
Ctrl Alt 오른쪽 키 | 다음 워크스페이스로 전환합니다. |
Ctrl Alt Shift 왼쪽 키 | 현재 창을 이전 워크스페이스로 이동합니다. |
Ctrl Alt Shift 오른쪽 키 | 현재 창을 다음 워크스페이스로 이동합니다. |
Alt F4 | 창 닫기 |
Alt F5 | 창의 크기를 일반 크기 혹은 이전 크기로 되돌립니다. |
Alt F7 | 현재 창을 이동합니다 (마우스나 키보드로도 이동 가능). |
Alt F8 | 현재 창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마우스나 키보드로도 크기 조절 가능). |
|
현재 창 최소화 |
|
현재 창 최대화 |
Alt 스페이스 바 | Displays the window menu with options such as 'Always on Top' and 'Minimize' and 'Maximize' and above commands. |
|
창을 화면 왼쪽으로 배치 |
|
창을 화면 오른쪽으로 배치 |
내 컴퓨터 안에는 뭐가 있을까?
Your machine is made up of various components that interact with one another. This information is useful when providing support to ensure hardware and software works on your machine.